본문 바로가기

광주광역시

가사문화권의 가을 나들이 (빛창 대학생블로거 기자단) 11월20일 담양군 남면 지곡리319번지에 소재한 가사문화권으로 가을 나들이를 다녀왔습니다. 조선시대의 화려한 가사문학의 보존을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인 환벽당과 담양 쪽의 소쇄원과 식영정을 삼각구도로 그 중앙에 한국가사문학관이 소재하고 있다. 1995년부터 歌辭文學館(가사문학관) 건립을 추진하여 2000년 10월에 현대식 건물로 연건평 163m2의 규모로 완공하였다 깊어가는 가을 가사문화권 속의 단풍이 곱게 물들어 있는 낙엽 쌓인 식영정의 가을 속으로 들어왔습니다. 길을 걷거나 여행을 하거나 주변의 아름다움에 빠져 들 때가 있다. 그냥 무작정 머물고 싶은 곳 식영정, 수백 년 수령의 송림 속에 고색이 짙은 고풍스런 식영정이야말로 우리 한국의 멋입니다. 충효동 광주호주변 생태공원 건너편 상류의 산기슭에 .. 더보기
'나 여기 있어' 제1회 광주여성영화제로~ 계획대로라면 광주영상복합문화관을 취재하러 갈 생각이었는데 때마침 그곳에서 제1회 광주여성영화제가 열린다기에 광주에 사는 한 여성으로서!! 저도 영화제에 참가하기로 하였습니다. 이번 광주여성영화제는 사전에 cafe.daum.net/wffig 라는 영화제 카페를 통해 사전 예매를 하고 무료로 영화를 관람할 수 있게 했어요. 11월 19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되는 영화제에는 여러편의 장편, 단편 영화가 상영되었는데 그 중에 저는 ‘데저트 플라워’ 라는 영화를 예매했습니다! 이 영화를 소개하는 브로셔에 ‘밀려오는 감동, 영화가 끝나고도 한동안 일어설 수가 없었다.’ 라고 적혀있는 것을 보고 내심 기대를 잔뜩 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주변에서 훌쩍훌쩍 울기도 많이들 우시고 싸-해진 가슴을 엔딩 크레딧이 올라가는 것을.. 더보기
[광주맛집]돈가스 전문점을 찾아서~♪(대학생 블로거 기자단)-데이지 이번에 찾아 간 광주의 맛집은 학동에 있는 돈가스 전문점 '데이지'라는 곳입니다. 인터넷으로 이 곳을 찾아보면 이미 이름이 많이 알려져 있는 곳인데요 사람이 붐빌 것이라는 것을 예상하고 갔지만 저녁시간인 6시에 도착한 곳은 이미 손님들로 북적였습니다. 먼저 와서 기다리고 있는 손님이 2팀이나 있었고 계속해서 예약 손님들로 넘쳐났습니다. ※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미리 연락을 해서 예약을 하면 기다리는 불편함 없이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데이지는 내부에 9개의 테이블과 야외 테라스가 있는데 특히 요즘은 날씨가 추워서 야외에서 음식을 맛보기는 힘들겠더라구요 ^^ 따뜻한 날씨였다면 바깥에서 맛보는 돈가스 정식도 꿀맛 일 것 같습니다. 보시다시피 아주 넓은 공간을 가진 곳은 아니였지만 작.. 더보기
[광주광역시] 빛창블로그(sayGJ)_주간단신 3호 ~*^^* 강운태 광주시장, 4억달러 규모 LED가로등 해외수주 지원 광주 LED업체가 말레이시아 말라카주 지능형 LED가로등 부품을 납품 합니다. 말라카주의 지능형 LED 가로등 교체, 말라카강(4.5㎞) 경관조성사업에 광주지역 업체의 LED 제품을 사용키로 하는 MOU를 체결했습니다. - 1단계 사업(진행중) 광주 LED업체 참가 규모 :시가지 가로등11만2,000개(4,600억원규모,총 280만개 중), 말라카강 4.5㎞ 경관조명(480억원) 두 도시간 우호관계 구축과 LED사업의 주체들이 돈독한 신뢰 관계를구축함에 따라, 향후 단계적으로 추진될 말라카주의 공공기관 및 광고시설 LED 교체 사업에도 광주지역 업체들의 LED 제품을공급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말레이시아 전역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LED보.. 더보기
광주 근교에서 통일신라의 불빛을 보다 - 개선사지 석등(광주-담양) 며칠 전에 장흥-화순-담양-광주로 통일신라 유적을 찾은 답사를 갔다 왔습니다. 그 중 광주에서 가까운 곳에 통일신라 유물이 있어 소개할까 합니다. 광주호 생태공원에서 조금만 더 가면 통일신라 시대의 유물인 '개선사지 석등'(9세기 말)이 있습니다. 보물 111호. 석등은 불가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물이죠. 주로 사찰 경내의 건물 앞에 세워집니다. 석등의 의미는 사찰을 환하게 밝히고 석등에서 퍼져 나오는 불빛은 부처의 지혜와 광명을 상징하여 종교적인 신앙심을 불러일으키는 도구로 인식되어 세워지기 시작하였습니다.(한국의 문화유산, 장준식, 91쪽 인용) 이 석등은 아래부분은 보수되었지만, 석등 꼭대기, 즉 상륜부 부분이 온전히 남아있어서 통일신라시대 석등 모습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주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