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 블로그

아시아 재해지역 긴급구호… ‘광주정신’ 세계 전파한다 광주광역시가 아시아에서 빈발하는 대규모 지진과 태풍 등 재해로 인한 피해지역을 돕는 민·관 거버넌스 형태의 협의회를 구성해 체계적으로 대응키로 했다. 시는 민선6기 윤장현 시장의 시정목표인 ‘세계 속의 평등한 인권도시’를 실현하기 위해 지역의료기관, 국제교류단체, 시민 등이 참여하는 ‘광주아시아재해 긴급구호협의회’(이하 ‘협의회’)를 구성해 인도적 차원의 긴급구호 활동을 펼칠 계획이라고 15일 밝혔다. 협의회는 의약 5단체, 의료기관, 국제교류협력단체, 언론·방송, 대학, 시, 시의회, 시교육청 등 민․관․기업 30여 명의 위원들로 구성․운영될 예정이다. 위원 임기는 2년이며, 연2회 정례회의와 함께 수시로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그동안 아시아 지역 재해 발생시 광주지역에서 산발적으로 긴급구호 활동을 .. 더보기
대인시장에서 만나는 아주 특별한 전시 한평갤러리 '별무리'전 대인예술시장은 언뜻 보면 평범한 재래시장 같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곳곳에서 예술을 만날 수 있는 아주 특별한 시장입니다. 며칠 후면 대인예술시장에서 별장이라는 야떨이 야시장이 열려 이 대인시장은 더욱 특별해집니다. 이 대인예술시장에 가면 꼭 빼먹지 말고 보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한평갤러리인데요. 이 세상에서 가장 작은 갤러리가 아닐까 싶습니다.이 여러 칸의 한평의 공간이 멋진 갤러리가 되어 주위의 이목을 끕니다. 시월에 열리는 한평갤러리의 다섯번째 전시는 '별무리' 전입니다.이번 전시에 초대된 작가는 김단비, 김지영, 려은, 정다운, 이재문, 이정기 6명의 작가입니다.4명의 평면작업 작가와 2명의 설치작업 작가라고 하여 더욱 볼거리가 풍성한 전시가 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이정기 작가의 가변설치.. 더보기
10월 셋째 토요일은 문화의 날! 10월은 문화의 달인 걸 알고 계신가요?10월 셋째 토요일은 문화의 날로 지정이 되어 있는데요. 방송과 잡지, 영화 등 대중매체의 사회적 가치를 새롭게 하고, 문화예술진흥에 관련된 행사를 하는 날입니다. 매년 10월 20일이었으나 2006년에 10월 셋째 토요일로 개정되었습니다. 1970년대에 들면서 문화창조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1972년 을 제정, 공포하였습니다. 1973년 따로 거행해오던 방송의 날, 영화의 날, 잡지의 날을 흡수하고 통합하였습니다. 이날은 기념식에 이어 정부에서 문발전 유공자를 포상하며 연극과 무용 등 기념공연과 강연회 등을 개최합니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는 10월을 문화의 달로 정하여 대한민국미술대전과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등 문화예술진흥을 위한 각종행사를 하고 역사적 인물을.. 더보기
‘안전광주 이야기 꾸러미’ 작품 공모 광주광역시소방안전본부는 오는 20일부터 11월20일까지 ‘안전광주 이야기꾸러미’ 작품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는 포스터, 글짓기, 4컷 만화, 1컷 만평 등 4개 부문으로 나눠 진행된다. 초등학생은 포스터, 글짓기, 4컷 만화 부문에 응모할 수 있고 중학생은 4컷 만화, 1컷 만평에 응모할 수 있다. 공모전 주제는 생활 속 안전사고 사례와 예방법으로 화재, 구조, 구급 등 119 소방 활동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이면 된다. 응모 작품은 학교 또는 개인별로 가까운 소방서를 직접 방문하거나 등기우편으로 접수하면 된다. 참가자 중 85명을 선발해 소방서장상과 총 500만원 상당의 문화상품권을 부상으로 수여할 예정이다. 입상자 명단과 수상 내역은 오는 11월28일 시 소방안전본부 인터넷 홈페이지(누.. 더보기
매년 10월 17일은 세계 빈곤퇴치의 날! 매년 10월 17일은 세계 빈곤퇴치의 날입니다. 세계 빈곤퇴치의 날은 빈곤 및 기아 퇴치와 인권 신장을 위하여 1992년 국제연합이 공인하였습니다. 1987년 프랑스 파리 트로카데로의 인권과 자유의 광장에서 조셉 레신스키 신부 주도하에 빈곤으로 인한 희생자 10만명이 모여 절대빈곤 퇴치운동 기념비 개막행사를 연 것이 이 날의 시작이라고 합니다. 1992년 10월 17일 국제연합에 의하여 제정되었으며, 빈곤과 기아 근절, 국제적 관심 촉구를 위하여 매년 10월 17일을 세계 빈곤퇴치의 날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빈곤으로 인한 희생자는 1987년에도 1992년에도 2014년에도 있습니다. 2000년 국제연합은 새천년 개발목표를 발표하였는데, 2015년까지 빈곤 인구의 비율을 반으로 줄이고, 기아로 인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