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7호 태풍 쁘라삐룬이
북상하고 있습니다.
『상황관리총괄반·긴급생활안정반·재난현장 환경정비반
긴급통신지원반·시설응급복구반·에너지기능복구반
재난수습홍보반·물자관리 및 자원지원반·교통대책반
의료방역반·자원봉사관리반·사회질서유지반·수색구조구급반』
총 13개 협업 기능 부서장과
5개 자치구 등 20여 명이
이날 열린 긴급 대책 회의에 참석하여
태풍 피해 예방대책을 점검하였습니다.
긴급회의에서 점검된 사항
▧중점 대처상황과 관련 태풍 대비 시민 행동요령
▧태풍정보 전파, 절개지, 산사태 등 붕괴 위험 취약지역 특별점검
▧강풍에 의한 입간판 탈락 등 위험시설 사전조치
▧대형공사장 안전조치 ▧비닐하우스 및 농작물 사전점검
▧피해 발생 시 신속한 인명구조와 유관기관 협조체계 구축,
▧태풍 대비 직원 비상근무 태세 등
더불어 태풍의 이동경로와
기상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신속한 상황 전파와 응급복구 등을 위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24시간 비상근무를 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시민들에게 피해가 크지 않도록
정말 많은 노력과 준비를 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시민들이 지켜야 할
대풍 대처요령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 TV나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 등으로
태풍의 진로와 도달시간을 알아둡니다.
▧ 가정의 하수구나 집주변의 배수구를 점검하고
막힌 곳을 뚫어야 합니다
▧ 하천 근처에 주차된 자동차는
안전한 곳으로 옮겨주세요.
▧ 날아갈 위험이 있는 지붕, 간판 등을 고정하고
집주변에 날아갈 물건이 있다면 미리 제거해주세요.
▧ 대형·고층건물은 유리창에
테이프를 붙여 파손에 대비합니다.
▧ 응급 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등의
생필품을 미리 준비하고,
가족 간의 비상연락방법을 미리 알아둡니다.
▧ 하천 물이 넘쳐서 흐르지 않도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농경지 침수를 예방합니다.
▧ 비닐하우스 등을 단단히 묶어 둡니다.
▧ 침수가 예상되는 공간에는 주차를 하지 말고,
지하나 붕괴 우려가 있는 장소의 주민은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 날아갈 위험이 있는 위험 시설물 주변으로
가까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
▧ 문과 창문을 잘 닫아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안전을 위해 집 안에 있도록 합니다.
▧ 테이프를 붙일 때에는 유리가 창틀에 고정되도록 해
유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합니다.
▧ 집 안팎의 전기수리를 하지 맙시다.
▧ 도로에 있는 차량은 속도를 줄여서 운전합시다.
▧ 아파트 등 고층건물 옥상, 지하실과
하수도 맨홀에 가까이 가지 맙시다.
▧ 비상 식수가 떨어졌더라도
물은 꼭 끓여 드세요.
▧ 침수된 집안은 가스가 차 있을 수 있으니
꼭 환기를 시켜주세요.
▧ 파손된 상하수도나 도로가 있다면
시·군·구청, 읍·면·동사무소에 연락해주세요.
▧ 전기, 가스, 수도시설은 손대지 마시고
전문 업체에 연락하여 사용합니다.
▧ 사유시설 등에 대한 보수·복구 시에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 두세요.
▧ 감전의 위험이 있으니
바닥에 떨어진 전선 근처에 가지 마세요.
지켜야 할 사항이 정말 많은데요.
그만큼 태풍의 위력이 무섭다는 거겠죠?
태풍 대처요령을 잘 참고하셔서
태풍으로 인해 큰 피해가 없길 바라며,
광주광역시 또한 만반의 준비로
시민 여러분들의 안전을 지키겠습니다!
'통하라 광주 >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아르바이트 ‘근로계약서’ 캠페인 전개 (0) | 2018.07.04 |
---|---|
광주시, 장마․폭염 대비 자동차 관리 등 안내 (0) | 2018.07.03 |
“황룡강․광주천 안전 물놀이하세요" (0) | 2018.07.01 |
시 보건환경연구원, 세균성 식중독 주의 당부 (0) | 2018.06.30 |
그늘막 쉼터에서 더위 피하세요 (0) | 2018.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