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즐겨라 광주/여행과 맛집

[광주남구] 광주 남구 포충사와 지산재

 

 

광주에서 전남 지역으로 자동차를 타고 가면 보이는 포충사와 지산재!

 그 곳은 어떤 곳인지 궁금해서 찾아가 보았습니다.

선조들의 국가에 대한 충효와 인의의 정신을 배울 수 있는 포충사와 지산재

어떤 곳인지 함께 가보실게요!

 

 

 

 

 

 

 

포충사는 광주 남구 원산동에 위치하고 있고, 광주광역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포충사는 임진왜란 때 호남의병을 이끌고 금산 싸움에서 순절한 고경명(1533~1592), 종후(1554~1593), 인후(1561~1592) 3부자와 유팽로(1554~1592), 안영(1564~1592)을 모신 곳입니다.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에도 장성의 필암서원과 함께 헐리지 않았던 전남지역 2대 서원 중의 하나인데요, 이 건물은 왜란 후 호남 유생들이 충의로운 인물을 기리고자 세웠는데 1603년 고경명의 후손과 제자인 박지효 등이 임금에게 청하여 포충이라는 이름을 받았다고 합니다.

포충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문적 49점은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1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포충사에 도착했을 때, 시민들이 서원을 유유히 걸으며 휴식을 취하고 있었는데요.

가을 단풍이 들어서 조용히 산보하기에 좋은 장소였습니다.

 

 

 

 

 

 

포충사에 도착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관문이 있는데요. 충효문과 성인문입니다.

, , 인 유학의 주요 덕목으로 그 의미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데요.

 충효문 옆에는 연못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부산에 가면 송상현 부사를 모신 충렬사가 있는데요.

 입구와 연못의 위치 등 전체적인 모습이 비슷하였습니다.

포충사에 이르러 선조의 구국 절의에 대해 참배를 하고 주변을 여행했는데요.

 가을 단풍을 구경하며 가족들과 유유히 산보를 하며 아이들에게 선조들의 구국의 정신을 교육하기에는 최적의 장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른 여행지는 고운 최치원의 신주를 모시고 있는 지산재인데요.

포충사와 지산재는 10여분 거리에 있습니다. 지산재는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0호로 1737년 영조 13년에 영당을 세워 영정을 모시다가 1846년 헌종 12년에 지산사를 세웠습니다.

1886년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 헐려 없어졌던 것을 1922년에 다시 세웠는데요.

 최치원을 중심으로 최운한(1444~1499), 최형한(1446~1504), 정오도(1641~1732) 네분을 모셨으나

고쳐 세우면서 최치원만을 모시게 되었습니다. 경내에는 강당인 지산재와 내외삼문, 영당이 있는데요, 그 중 지산재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지산재는 정면 4, 측면 1칸의 팔작지붕 건물로서 중앙 3칸은 마룻바닥이고 양퇴간은 방을 놓아 일반 민가와 같은 인상을 줍니다.

 편액 글씨는 고당 김규태가 썼으며, 건물 왼쪽 빈터에 1985년에 세운 유허비가 있습니다.

 

최치원은 신라말기의 문신으로 유학자, 문장가입니다. 6두품 출신으로 12세의 나이에 당에 유학하여

6년만에 당의 빈공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으며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절도사 고병의 막하에서

토황소격문을 지어 당 전역에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고 승무랑 시어사로서 희종 황제로부터 지금어대를 하사 받기도 하였습니다. 귀국 직후 당에서 쓴 글을 모아 헌강왕에게 바쳤던 계원필경은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개인 문집으로 꼽히며, “삼국사기에 실려 있는 난랑비서는 신라 화랑도의 사상적 기반을 말해주는 자료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지산재는 최치원의 명성에 비해 화려하지 않고 소박하다는 느낌을 받았는데요. 그러한 점이 고운 최치원에 대한 검소한 선비적인 기질을 엿볼 수 있는 단면이라고 느꼈습니다.

 

나라가 위태로울 때 목숨을 아까워 하지 않고 희생한 의병장을 모시고 있는 포충사와 신라 말기 문신으로 이름을 날린 고운 최치원을 모시고 있는 지산재를 여행하면서 광주 남구 지역에 훌륭한 역사유물이 많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러한 훌륭한 역사 유물을 통해 교훈을 얻고 잘 보전하여

후세에 알리는 것 또한 중요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