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누려라 광주

69주년을 맞이하는 광복절






올해로 광복절이 69주년을 맞이했습니다.


광복절은 1945년 8월 15일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광복된 것을 기념하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경축하는 날입니다.


한민족이 35년간의 일본 제국주의의 압제에서 광복을 되찾은 것을 기념하는 국경일로 

민족의 해방과 조국의 광복 또는 독립을 기념하는 법정공휴일입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일제의 강점으로부터 벗어난 날과 독립국으로서 정부가 수립된 날을 

기념하기 위해 1949년 10월 1일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매년 8월 15일을 

광복절이라 하고 국경일로 지정하였습니다.


'광복'이란 '빛을 되찾다'는 뜻으로서 잃었던 국권의 회복을 의미합니다.








8·15의 의미는 해방, 독립, 광복의 세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1946년 8월 15일은 해방 1주년으로 비록 좌익과 우익으로 갈려 기념식이 치러졌으나, 전민족적 기념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48년 8월 15일에 한국은 정부수립을 선포함으로써 이날의 역사적 의의를 드높였습니다. 


1949년 이후 8·15는 광복과 정부 수립의 중첩적 의미를 지닌 날이 되었습니다.








광복의 개념은 국권 상실 직후에 결성된 대한광복회나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협의를 

거쳐 성립한 서간도의 광복군사령부, 철혈광복단, 1936년의 조국광복회, 1940년 임시정부가 

재조직한 광복군 등을 통해 지속되었습니다.


해방 이전 광복이라는 개념과 가장 친숙한 존재는 임시정부 산하에 설치된 한국광복군과 

이들이 발간한 광복이라는 기관지였습니다.









광복절 기념 행사는 1970년부터 대통령이 참석하는 행사가 되었으나, 1974년 기념식장에서 

영부인 암살 사건이 발생하여 우여곡절을 겪었습니다. 


기념식 장소는 중앙국립극장, 세종문화회관, 독립기념관 등으로 바뀌었습니다.








광복절이 민족의 해방과 독립을 기념하는 시간적 의례 장치라면, 이에 상응하는 공간적 기억 

장치는 독립기념관으로 1987년 8월 15일 개관하였습니다. 


이와는 달리 일제 지배를 상징하는 구 조선총독부 건물은 1995년 8월 15일 철거되었습니다. 







광복절은 조국의 광복을 위해 투쟁한 순국선열들을 추념하고 민족의 해방을 경축하는 

국경일입니다. 



광복절은 점차 한반도의 통일과 동아시아의 평하를 기원하는 기념일로서 의미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에겐 더욱 중요한 국경일입니다.



공휴일이기 때문에 쉬는 날로만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실테지만, 이 날이 왜 공휴일이 되었는지 어떻게 국경일로 지정 되었는지 광복절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는 하루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