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시

[행정]1980년 광주 취재 내외신기자 5·18 재조명 1980년 광주 취재 내외신기자 5·18 재조명- 시민과 생생토크, 36주년 기념식·전야제 참석 - 당시 해직기자들 5·18역사왜곡 관련 성명 발표 광주광역시는 1980년 광주 참상을 외부에 가장 먼저 알렸던 독일 언론인 고 유르겐 힌츠페터의 추모와 연계해 당시 광주 현장에서 취재했던 외신기자들을 초청해 5․18의 역사를 재증언하는 자리를 갖는다고 밝혔습니다. 15일부터 19일까지 광주를 찾는 외신기자는 브래들리 마틴, 노만 소프, 팀 셔록, 도날드 커크이며, 1980년 오월 당시 해직당한 기자는 고승우 대표를 포함한 10여 명도 함께 참여합니다. 이들은 16일 5․18구묘지에서 열리는 故 힌츠페터 추모식과 5․18민주화운동기록관에서 열리는 내․외신기자 초청 시민과의 생생토크에 참여합니다. 국내 해직기자.. 더보기
[행정]광주시, 5․18묘지 참배객 편의 위한 순환버스 운행 광주시, 5․18묘지 참배객 편의 위한 순환버스 운행- 광주송정역↔5.18묘지(5.17.~5.18.), 전남여고 건너편↔5.18묘지(5.17.) 등 2개 구간 광주광역시는 36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행사 기간에 오월 영령들을 추모하기 위해 전국에서 국립5․18민주묘지와 5․18 구 묘지를 찾는 참배객들의 교통편의를 위해 17일부터 18일까지 이틀간 순환버스를 운행합니다. 광주송정역에서 출발하는 순환버스(1~2호차)는 17일부터 18일까지 시청, 광천터미널(유스퀘어), 광주역, 전남대 등 왕복 24회를 운행하며, 전남여고 건너편에서 출발하는 순환버스(3호차)는 17일 하루만 동구청, 조선대, 동광주홈플러스 등 왕복 9회 운행합니다. 또한, 광주시는 18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리는 기념식에 맞춰 광.. 더보기
[문화]문화예술의 멋 물결친 5‧18민주광장 1980년 광주 취재 내외신기자 5·18 재조명 - 시민과 생생토크, 36주년 기념식·전야제 참석 - 당시 해직기자들 5·18역사왜곡 관련 성명 발표광주프린지페스티벌 두 번째 행사가 열린 14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앞 5·18민주광장 일대는 페스티벌을 즐기려는 시민들과 5·18정신 계승을 위해 광주를 방문한 전국 노동자들로 들썩였습니다. ‘오월은 자유다’라는 테마로 펼쳐진 이날 페스티벌은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을 ‘자유에 대한 열망’으로 재해석해 자유를 느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관람객들을 맞았습니다. 특히, 이날은 광장에서 열린 ‘5·18 광주민중항쟁 36주년 정신계승 전국노동자대회·민중대회’에 맞춰 ‘5·18주먹밥’, ‘5·18시민군상’ 청동마임 등을 기획해 광주정신을 알리고 공유하는 데 초점.. 더보기
[광주시]우치공원동물원 관람객 2배로 '껑충' 우치동물원 관람객 2배↑ - 무료 개방․생태체험 프로그램 운영 ‘효과’… 호남대표 휴식처로 자리잡아 우치공원동물원이 지난해 5월 동물원 무료 개방과 다채로운 생태체험프로그램 운영으로 관람객이 크게 늘며 호남 지역민이 즐겨찾는 가족단위 대표 휴식처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특히, 평일에는 생태체험학습을 위해 찾은 어린이집․유치원 유아들과 초등학생뿐만 아니라 중․고교의 소풍으로 학생들이 많이 찾고, 휴일에는 가족단위 나들이객이 주를 이뤘습니다. 우치공원관리사무소는 동물사 리모델링과 조경․휴양시설을 확충한 개선사업을 통한 공원 환경 개선과 생태체험프로그램까지 다양한 즐길거리와 볼거리가 관람객들을 끌어 모으는데 한 몫 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동물생태해설사와 함께하는 동물원 한바퀴’ 체험은 동물원에서 양성한 .. 더보기
[광주시]에어가전 지역거점 신규사업 선정 광주시, ‘에어가전’ 산업부 2017년 지역거점사업 신규사업 선정 - 지역가전 튼튼한 연구역량 기반 자동차 전장기업 전환, 독자제품 상품화 - 지역 가전협력업체, 에어가전 관련 제품 생산기반 조성․재도약 발판 마련 광주광역시는 ‘에어가전 혁신지원센터구축사업’이 산업통상자원부 2017년 지역거점 신규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26일 밝혔습니다. 산업부는 지난 1월부터 전국 13개 시․도에서 28개 사업을 접수해 두차례 심사를 거쳐 에어가전혁신센터구축 사업을 포함한 11개 사업을 최종 선정했습니다. 이번 사업은 전자부품연구원을 주관 기관으로 지역 연구기관, 대학, 가전기업이 참여해 내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국비 100억원을 포함한 총 23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혁신센터 건립, 장비 구축, 기술 개발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