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시청

광주 대인예술야시장 12월에도 열린다 광주광역시는 11월까지 진행키로 한 대인예술야시장을 12월에도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대인예술야시장은 당초 지난 6월부터 11월까지 총 6회를 운영키로 했지만, 시장 상인들의 지속적인 야시장 운영 요구와 판매자들의 참여 열기가 뜨거워 12월 둘째 주 금요일과 토요일인 12일과 13일 오후 7시부터 자정 12시까지 한 번 더 개최키로 했다. ‘12월의 선물’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야시장은 한해를 정리하면서 누군가에게 주고 싶은 선물과 같은 감사의 마음을 담아내는 장이 된다는 점에서 선정된 주제다. 시장의 곳곳은 선물로 가득한 새로운 공간으로 연출된다. 시장의 명물이 된 ‘한평갤러리’에서는 선물을 주제로 한 작가들의 작품이 기다린다. 야시장에 참여하는 판매자들은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살린 흰색과 빨간 색.. 더보기
[광주광역시]광주독립유공자기념탑 제막식(2014.12.5)-광주랑 광주 상무시민공원에 광주독립유공자기념탑이 세워졌다.(2014.12.5.) 12월 5일 11시 광주시민공원에서 광주시의 독립유공자들의 오랜 숙원사업인 광주독립운동기념탑 제막식이 윤장현 시장, 조영표 시의회 의장, 광주지방보훈청장 등 200여 명의 시민이 참석한 가운 열렸다. 일제강점기에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하여 희생당한 항일의병 열사들의 숭고한 독립정신을 기리고 후세들이 나라사랑에 대한 선열들의 뜻을 기리기 위함이다. 탑 디자인은 ‘독립운동기념탑’ 평화의 꽃으로 피어오름을 상징한다. 광주 전남독립운동가의 희생에 의한 숭고한 애국정신으로 조국을 지켜낸 평화를 주제한 상징물로 제작되었으며 높이가 14m에 이른다. 탑은 바닥에서 시작되는 조각난 돌들이 모여 뿌리를 만드는 원형으로 형상화해 대한민국이 오늘날 꽃잎.. 더보기
대설주의보 대설 12월 제철음식 눈이 많이 내린다는 절기 대설 24절기 가운데 21번째 해당하는 절기 ‘대설’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일년 중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절기랍니다. 음력 11월, 양력으로는 12월 7일이나 8일 무렵에 해당됩니다. 대설이 있는 음력 11월은 동지와 함께 한겨울을 알리는 절기로 농부들에게 있어서 일년을 마무리 하면서 새해를 맞이할 준비를 하는 농한기이기도 하답니다. 옛 중국에서는대설로부터 동지까지의 기간을 다시 5일씩 삼후로 나누어, 초후에는 산박쥐가 울지 않고, 중후에는 범이 교미하여 새끼를 치며, 말후에는 여지가 돋아난다고 하였습니다. 농촌에는 이 때 콩으로 메주를 쑤는데 콩을 푹 삶아서 네모지게 만들어 볏짚으로 묶어 따뜻한 곳에 두면 우리 몸에 이로운 미생물이 많이 자란다고 합니다. 그리고 잘 뜬 메주로 .. 더보기
광주 상무시민공원 광주독립운동기념탑 제막식 광주광역시는 선열들의 숭고한 독립정신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광주독립운동기념탑 제막식을 5일 오전 11시 서구 상무시민공원 탑 광장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윤장현 시장, 조영표 시의회의장, 광복회 회원 및 보훈단체 등 200여 명이 참석하며 기념탑 건립 경과보고, 기념사, 테이프 커팅, 탑 관람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시는 그동안 광주독립운동기념탑건립tf팀을 구성해 각계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상무시민공원 내 부지 480㎡, 높이 14m 규모의 탑을 조성했다. 특히, 탑신 주변에 서재필(대한민국장), 양한묵(대통령장) 등 광주․전남 독립유공자 1000여 명의 명단을 새겨 조국 독립을 위해 외세에 치열하게 맞선 선열들의 뜻이 후손들에 길이 기억되도록 했다. 홍남진 시 사회복지과장은 “지역 독립운.. 더보기
광주시 다문화가족지원거점센터 다문화 인식 개선 매뉴얼 발간 광주광역시 다문화가족지원거점센터는 여성가족부의 ‘2014지역맞춤형 다문화 인식개선 시범사업’에 참가해 ‘빛고을 광주 우리안의 다문화 함께하는 다문화’ 교재를 600부 발간했다. 지역 맞춤형 다문화연구 교재로는 전국에서 처음 발간된 책자는 지역 이주가족 전문가들의 3차례 감수를 거쳤다. 제1강 빛고을 광주, 우리안의 다문화, 제2강 광주 사람들, 떠남과 찾아옴의 발자취, 제3강 다문화인식 개선 매뉴얼 편으로 나눠 다문화와 이주민에 관련된 용어, 개화기부터 현재까지의 광주지역 이주민 역사, 다문화와 정체성, 다문화사역을 위한 태도, 원주민과 이주민의 소통과 공존의 조건들을 실었다. 시는 교재를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국‧공립 대학교 도서관, 이주민 관련 단체, 사회복지 유관기관 등에 배부해 다문화 이해 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