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시 블로그

도매시장 유통 농산물 안심하고 드세요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농수산물검사소는 올해 상반기 도매시장 반입 농산물과 관내 유통 농산물 1641건에 대한 잔류농약 안전성 조사 결과 1%인 16건에서 부적합 농산물로 판정돼 전량 압류·폐기했다고 21일 밝혔다. 검사소는 서부․각화도매시장으로 반입되는 경매 전·후 농산물 1038건과 관내 대형마트, 백화점 및 시장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농산물 603건에 대해 208항목의 농약성분을 검사했다. 검사결과, 부적합 빈도가 가장 높은 농산물은 부추로 4건이며, 시금치 3건, 참나물 2건, 상추, 냉이, 고춧잎, 쑥갓, 아욱, 봄동, 쑥에서 각 1건이 부적합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검출된 잔류농약은 프로시미돈과 루페루론, 디니코나졸 등이며, 6회 검출된 프로시미돈은 침투이행성의 치료 및 보호 살균제이며 과수.. 더보기
‘국제 넬슨 만델라의 날’ 기념행사 광주서 열려 넬슨 만델라의 용서·화해·박애의 정신을 기리는 행사가 민주·인권·평화의 도시 광주에서 열렸다. 광주광역시와 주한 남아프리카공화국 대사관은 18일 오전 10시 시청 1층 시민홀에서 ‘제5회 국제 넬슨 만델라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열린 이날 ‘만델라의 날’ 기념행사는 만델라 다큐멘터리 상영, 윤장현 광주시장과 힐튼 안소니 데니스 주한 남아공 대사의 기념사, 박경서 전 인권대사의 ‘넬슨만델라가 전하는 인권이야기’ 강연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윤 시장은 기념사를 통해 “만델라 전 대통령 재심시절이었던 지난 97년 딸 송가니 흐롱웨인 만델라 여사를 5·18민주화운동 17주년 기념식에 참석시키셨고, 2006년 6월 광주에서 개최했던 ‘노벨평화상 수상자 광주정상화의’에 축하 영상메시지를 보.. 더보기
악취민원 해결에 시민이 직접 참여한다 시민이 직접 기아자동차(주)공장(이하 ‘기아차’) 인근 악취 민원 해결에 참여하게 됐다. 광주광역시는 하절기 기아차 인근 주민의 악취 민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민원 당사자인 주민이 참여하는 투명행정을 펼치기로 해 관심을 끌고 있다. 시는 최근 기아자동차 페인트 시너 냄새로 인해 주변 아파트 주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민원에 대해 시민과 환경단체, 언론 등이 참여한 가운데 기상 여건을 감안, 빠른 시일 내 야간에 악취 물질을 채취해 오염도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기아차에서 배출되는 지정악취물질의 원인물질을 파악해 개선하는 등 악취를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인근 주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기아차는 악취를 줄이기 위해 지난해 설비 정밀점검을 실시하고, 총 40억원을 투자해 시너 회수.. 더보기
광주시 주정차 단속 방송 달라진다 광주광역시의 주정차 위반 차량을 단속하는 안내방송이 달라진다. 시는 8일부터 불법주정차 차량을 단속하는 안내방송 용어를 광주시민으로서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부드러운 문구로 개선한다고 8일 밝혔다. 윤장현 시장은 민선6기를 열며 “불법주정차 단속 시 인권도시 광주의 이미지에 걸맞은 부드러운 용어를 사용해 시민의식을 높이고 시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달라.”고 주문해왔다. 이에따라, 주정차 위반차량 단속 시 “0000번 차 빼주세요, 이동하세요.” 등 권위적이고 거부감을 줄 수 있는 방송이 앞으로는 “우리는 자랑스러운 광주시민입니다.”, “한마음 공동체, 다함께 만들어갑시다.” 등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방송으로 바꾸기로 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달라지는 단속 안내방송은 시.. 더보기
영․호남미술교류전 “하나의 정원” 손 일 삼 , 제주바다-印象(인상), 65.2×30cm, Oil on Canvas, 제주 광주시립미술관(관장 황영성)은 상록전시관에서 (사)한국미술협회 광주광역시지회와 공동주최로 을 개최하고 있다. 영․호남 지역은 지역적으로 맞닿아 있지만 경제성장 이후 정서적 화합의 걸림돌로 자주 거론되는 지역으로, 소통을 원하는 각계각층에서 다각도의 시도들을 해 오고 있다. 1980년대 이루어진 선구적 노력 중 하나가 바로 대구· 광주 두 도시의 미술교류였다. (사)한국미술협회 대구지회와 (사)한국미술협회 광주지회는 ‘영‧호남미술교류전’이라는 타이틀로 1986년, 광주에서 제1회 교류전을 시작했다. 1999년 제14회 영·호남미술교류전은 ‘광주-대구 여류작가전’이라는 부제로 한국미술협회 사상 처음으로 여류작가 교류 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