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광역시청

광주시 7080충장축제, 최우수 문화관광축제에 선정 ‘추억의 7080충장축제’가 문화체육관광부가 해마다 선정하는 문화관광축제 최우수 축제로 선정됐다. 광산 ’우리밀축제’는 유망축제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각각 국비(관광진흥기금) 2억5000만원과 9000만원을 지원받게 된다. 문체관광부는 ‘2015년 ‘문화관광축제’로 대표축제 2개, 최우수축제 9개, 우수축제 10개, 유망축제 23개 등 44개 축제를 선정했다. 광주는 서울을 제외한 7대 특․광역시 중 가장 높은 등급인 최우수축제와 함께 광산 ‘우리밀 축제’가 새로 유망축제로 선정돼 유일하게 2개 축제가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추억의 7080충장축제’는 지난해에 이어 최우수축제로 선정되면서 2015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개관과 함께 대한민국의 대표 길거리 축제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 더보기
[광주가볼만한곳/광주데이트] 광주 데이트 코스 추천 광주에서는 어디서 데이트를 해야 잘 했다고 할 수 있을까요? ^^ 연인과 함께 맛있는 음식도 먹고 영화도 보고 갈 곳이 없어 매일 비슷비슷한 일상인 분들께 광주 데이트코스 몇 군데를 추천해드리려 합니다. ▶▶ 광주극장 동구 충장로에 위치한 광주극장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입니다. 1934년에 세워져서 지금까지 영화를 상영하고 있는 광주극장은 스크린이 단 하나뿐인 단관 극장으로 관객이 1명이여도 상영을 하는 유일한 극장이라고 합니다. 상영하는 영화는 대부분은 예술영화이며 일반 영화관에서는 볼 수 없는 예술/독립영화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예술의거리 동구 궁동에 위치한 예술의거리는 호남문화와 예술의 중심지인 예향 광주의 전통을 계승 발전 시키기 위해 조성되었고 남도예술을 쉽게 접할 수 있는 명소입.. 더보기
광주시청 스케이트장, 개장 닷새 만에 1만여 인파 몰려 올해 두 번째 시즌을 맞은 광주시청 문화광장 야외스케이트장이 개장 닷새 만에 1만 여명의 인파가 몰리며 도심 속 생활체육 명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9일 광주광역시에 따르면 문화광장 스케이트장에는 28일 현재 1만1848명의 내장객이 다녀갔다. 성탄절 이브에 맞춰 개장된 스케이트장은 성탄 당일과 주말에 연속 매진을 기록하며 일일 평균 2370명이 스케이트장을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스케이트장 내장객은 광주지역 초․중학생들이 주를 이뤘지만 가족단위와 인근 시·군민들의 발길이 이어 지는 등 시청 일대가 온종일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시에서는 스케이트장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 안내원을 배치하고, 의회동과 민원인 주차장, 시청 앞 상무 지하주차장을 이용토록 유도하고 있다. 내장객들의 주차질서 준수와 대중교통 이.. 더보기
[광주해맞이/해돋이장소] 다가오는 새해, 2015 광주 해맞이 명소 다사다난했던 한해가 지나가고, 곧 2015년이 시작 됩니다. 이맘 때가 되면 많은 분들이 전국에 있는 해맞이, 해돋이 명소를 찾으시게 되는데요. 광주에서는 어디에서 새해맞이를 할 수 있을까요? 1. 금당산 금당산의 높이는 약 300m며 풍암지구를 병품처럼 둘러싸고 있는 산으로 정상을 사이에 두고 옥녀봉과 황새봉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산책로가 있으며 주로 원광대 한방병원을 출발하여 풍암저수지로 내려오는 코스가 가장 일반적 이랍니다. 풍암지구 택지개발로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으며 노약자와 어린이들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금당산 하단분에 풍암지구 경관녹지를 활용하여 경사가 완만한 순환산책로를 개설, 서구민은 물론 광주 시민 등 1일 약 1천여명이 활용하고 있으며 산책로변에 나무이름표(소나무 등 64종 .. 더보기
광주광역시 2015년 을미년 맞아, 민주의 종 타종식 개최 광주광역시는 2015 을미년 새해를 맞아 오는 31일 오후 11시20분부터 새해 1일 오전 0시20분까지 금남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앞 민주의 종각에서 ‘민주의 종’ 타종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타종행사는 지난 2007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건립공사로 중단된 이후 7년만에 다시 열리는 것이 다. 그간 지역 시민사회단체 일각에서 ‘민주의 종’ 위치와 건립추진 과정의 적절성에 대한 문제 제기도 있었 지만, 논란이 됐던 민주의 종(2005년 제작)이 다시 제작돼 설치됐고, 시민‧사회단체가 타종식 참여를 전향적으로 합의한 만큼 이번 타종식은 지역통합의 새로운 전기가 될 전망이다. 타종식은 오후 11시20분부터 식전공연을 시작으로 새해를 맞는 카운트다운과 함께 광주시장, 시의회의 장, 시교육감, 양띠 시민 등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