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 블로그

시 보건환경연구원 ‘대기환경보전 포럼’ 개최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은 국제기후환경산업전이 열리는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오는 16일 오후 대기환경보전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일시‧장소 : 16일 오후 2시부터 김대중컨벤션센터 1층 제2 세미나룸 기후변화와 미세먼지 등의 환경변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마련한 이번 포럼에는 광주과학기술원 박기홍교수를 포함한 대기환경 전문가 3명과 지역 관계자 등이 참여한다. 참가자들은 ‘푸른도시 조성을 위한 대기환경보전 포럼’이라는 주제로 지역사회 대기환경 실태와 연구결과, 대기오염저감 방안 등에 대해 토론할 계획이다. 광주지역 대기질은 미세먼지, 이산화질소, 아황산가스 등이 7대특·광역시에서 가장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국이나 몽골에서 유입되는 황사나 스모그 등으로 시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 시는 포럼을.. 더보기
2014국제기후‧환경산업전 15일 개막 호남 유일의 기후․환경 분야 전문 전시회인 ‘2014국제기후‧환경산업전’이 오는 15일부터 3일간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160개사 390개 부스 규모로 열린다. 이번 전시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김대중컨벤션센터 등 7개 기관이 공동 주관해 수처리기술을 비롯한 대기오염방지, 토양오염복원, 기후변화 대응분야 신기술과 신제품을 한 자리에서 선보이게 된다. 특히, 60개국 1200명의 해외 수처리 전문가들이 참가하는 ‘국제관개배수위원회 광주총회(icid)’와 환경부가 주최하는 ‘환경일자리박람회’, ‘전국물관리심포지엄’ 등 대규모 행사가 함께 열려 환경산업의 국제적인 신기술 흐름과 정보 교류, 청년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참가업체의 판로 개척과 수출 확.. 더보기
여성일자리박람회, 21개 기업 채용관 운영 오는 18일 광주광역시청 1층 시민홀에서 열리는 2014여성일자리박람회에서 21개 기업이 채용관을 운영한다. 광주광역시는 5개 여성새일센터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이번 박람회에 ㈜광주신세계, 일신방직, ㈜파리바게트, ㈜제이앤비컨설팅, ㈜키니스 등 21개 기업체가 직접 참여해 채용관을 운영하고, 100개 기업체가 채용정보를 제공한다고 12일 밝혔다. 박람회는 이날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열린다. 오후 1시부터는 방송인 김미화씨의 ‘시대에 당당한 나로 살아가기’라는 주제의 특강이 진행되고 구직자를 위한 현장 면접 채용, 취업정보 제공, 1:1 취업컨설팅, 직업체험 및 창업홍보, 이력서 작성 및 클리닉, 무료 이력서 사진촬영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된다. 이와함께 직업심리검사, 이미지 메이킹 뷰티관 운영, 노동 .. 더보기
광주시, 시청사 재단장 해커톤 행사 개최 시민들이 시청사를 직접 뛰어다니며 청사를 재단장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모으고 토의하는 해커톤이 열린다. ※ 해커톤 : 해킹(hacking)과 마라톤(marthon)의 합성어. 팀을 꾸려 주제에 제한 없이 마라톤 하듯이 일정 시간 쉬지 않고 아이디어를 쏟아내고 현안에 대해 논의하는 방식으로 기업 등에서 활용하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그동안 행정 목적 위주로 활용된 청사를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공간으로 재단장을 추진하며 시민들의 창의적인 활용 방안을 이끌어내기 위해 ‘시청사 리노베이션 해커톤’을 오는 27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해커톤은 중․고교생부터 다양한 계층의 시민이 직접 참여해 아이디어를 기획, 평가 검증하는 창조적 아이디어 컨퍼런스로 가족(초등학생 포함), 친구, 동료 등이 3~5.. 더보기
9월 18일은 철도의 날! 9월 18일은 철도의 날입니다. 이 날을 철도의 날로 지정한 것은 한반도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을 개통한 날이 1899년 9월 18일이기 때문입니다. 원래 철도의 날은 일제강점기인 1937년에 일제에 의해 제정되었다고 하는데요. 그러다가 1964년 한국 정부에 의해 철도의 날이 지정되었습니다. 1973년 3월에는 여러 국가기념일이 통합 혹은 정비되면서 제정된 '각종기념일등에관한규정'으로 그 법률적 기반이 변경되었습니다. 1964년에 한국에서 철도의 날이 지정된 것은 이 무렵이 되어서야 식민지 시기의 여러 잔재들이 청산되고 근대 국가로서 제도적 틀이 완성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철도의 경우는 1961년까지도 여전히 1912년의 제령24호인 '철도와 궤도의 영업에 관한 건'을 법률적 기반으로 하여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