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 블로그

광주시 공직자 정책 아이디어 ‘두바퀴 도시혁명 프로젝트’ 대상 광주광역시 공직자가 시장이라면 추진하고 싶은 과제로 제시한 아이디어 중 종합건설본부 소속 나용선 주무관의 ‘두바퀴 도시혁명 프로젝트’가 대상을 수상했다. 시는 2일 오후 시청 3층 대회의실에서 시민 청중심사단 100여 명 등 2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더불어 사는 광주, 더불어 행복한 시민’을 위한 정책 구현을 위해 ‘공직자 정책 아이디어 컨퍼런스’ 최종 결선을 개최했다. 대상을 수상한 ‘두바퀴 도시혁명 프로젝트’는 광주 주변 주요 하천길과 푸른길을 활용한 자전거투어 길을 조성해 시민 편의는 물론, 중국 관광객(요우커)을 끌어모아 세수확충도 가능하다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금상에는 ‘풍영정천 유지용수 확보 방안’을 내용으로 한 생태하천수질과 임태성 주무관과 ‘더불어 사는 광주 시청개방의 날 운영’을 .. 더보기
“대인예술시장 구석구석 지도로 그려보자” 광주광역시는 3일 오후 2시부터 3시간에 걸쳐 대인예술시장내 상인회 교육장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커뮤니티 매핑(지도 만들기) 워크숍’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커뮤니티 매핑 전문가 임완수 박사를 초빙해 진행하는 이번 지도 만들기는 대인예술시장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마련됐다. 대인예술시장을 대상으로 사람과 사람, 커뮤니티, 지역사회 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지도를 그려보는 현장 워크숍으로 임완수 박사의 커뮤니티 매핑에 대한 강연과 대인예술시장 지도 만들기 순으로 진행된다. 커뮤니티 매핑과 대인시장에 관심있는 시민 누구나 스마트폰만 있으면 현장에서 바로 참여할 수 있다. 한편, 커뮤니티 매핑은 최근 우리 사회가 가진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주목받고 있다. 여러 참여자의 눈으로 객관화된 시민.. 더보기
불로초등학교, 전국119동요대회 금상 수상 광주광역시소방안전본부는 소방방재청 주관으로 지난 1일 백령아트센터(강원도 춘천대학교 내)에서 열린 제15회 전국119동요대회에서 불로초등학교와 문예동산유치원이 각각 금상과 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초등부와 유치부로 나눠 열린 이번 대회에는 각 시․도 예선에서 1위를 차지한 초등학교 18개 팀 과 유치원 18개 팀이 열띤 경연을 펼쳤다. ‘불꽃’을 부른 불로초등학교와 문예동산유치원은 가창력과 완성도, 표현력에서 골고루 높은 점수를 얻었다. 전국119 동요대회는 어린이들에게 동요를 통해 자연스럽게 안전을 배우고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해마다 개최하고 있다. 더보기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한 10월 9일, 한글날 한글날은 훈민정음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우리 글자 한글의 우수성을기리기 위한 국경일입니다. 1926년에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그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습니다. 광복 후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되었으며 2006년부터 국경일로 지정되었습니다. 또한 세종어제 서문과 한글의 제작 원리가 담긴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것은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습니다. 한글날의 유래는 이렇습니다. 훈민정음은 세종대왕 25년에 완성하여 3년 동안의 시험 기간을 거쳐 세종 28년인 서기 1446년에 세상에 반포되었습니다. 한글은 자연발생적으로 생긴 것이 아니라 세종대왕이 주도하여 창의적으로 만든 문자이며 지극히 과학적이고 합리적.. 더보기
광주시, 장애인 지원 위한 실태조사 실시 광주광역시는 장애인 복지의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장애인 당사자와 그 가족 중심의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민관합동 실태조사’와 ‘발달장애인 및 가족 민관합동 실태조사’를 각각 실시한다고 1일 밝혔다. 먼저, ‘중증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민관합동 실태조사’는 중증장애인에게 지원하는 활동지원서비스 이용자가 적은 원인을 찾아내고 맞춤형 서비스 발굴 등을 통해 최중증 독거 장애인의 화재 사망사고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예방한다는 계획이다. 조사 대상은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1~2급 등록 장애인 중 표본추출한 1000명이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2인1조로 오는 6일부터 11월21일까지 조사 대상자 가구를 방문해 면접조사로 실시한다. 주요 조사 내용은 △복지서비스와 활동지원서비스 이용 실태 △광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