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대를 풍미하며 흔적을 남긴 이들이 흔하지 않지만 그런 명사들 중에서도 자신의 부귀영화를 탐하지 않고 민족의 아픔에 참여한 이들은 오천년의 역사를 거슬러 보아도 쉽게 만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소리꾼 임방울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도 그의 일대기가 영화를 취할 수 있었음에도 죽기까지 민초들의 한을 보듬고 시대의 아픔을 함께 나누면서 자신의 모든 것으로 여겼던 소리를 통하여 그들과 위로를 나누었던 예술인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시대를 조금만 거슬러가도 소리꾼들의 사회적 처우가 그렇게 대단한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임국창은 소리의 삶을 자신의 전부로 받아들이고 소리의 완성을 위하여 게으르지 않았으며 또한 소리꾼으로서 명망을 얻었음에도 세상 영화를 탐하지 않음은 물론 화려한 무대가 아니어도 어디에서든 그의 소리를 듣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마다하지 않고 그의 열정을 쏟아냄으로서 서민들의 고달픈 삶을 위로하는 것으로 보람과 긍지를 느낀 예술가이다.
임국창의 순수한 예술적 삶은 물질중심의 이 시대에 귀감이 됨은 마땅하다. 또한 문화 도시를 추구하는 광주 역시 외적 미관도 고려해야 하지만 건강한 예술적 정신을 시민문화로 함양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결국 예술도시의 품격도 시민들의 인격을 통해서 더욱 빛을 발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로 볼 때 광산구 송정역과 지하철이 만나는 역사에 국창 임방울 선생님의 전시관이 새로 마련된 것은 좋은 일이다.
거기서 선생님의 일대기와 관련된 자료, 선생이 늘 사용하던 장구며 손에 들던 부채 등의 옛 모습을 볼 수 있어 좋았다. 또한 선생의 소리를 직접 경험 할 수 있는 작은 공간도 있고 후학들의 면면도 볼 수 있어서 앞으로 시민들의 생각 속에 선생의 얼이 간직되리란 기대도 해본다.
도시철도 고객과에 한 가지 건의를 하였는데 전철이 들어올 때의 경보음을 선생이 생전에 애창했던 -쑥대머리-로 전환 해 줄 것을 건의하였다.
담당자의 생각도 긍정적이어서 기술적인 부분이 가능하다면 아마도 전철 경보음에서 선생의 소리를 일상으로 듣게 될 것 같다.
춘향이 옥에 갖혀 서울로 올라간 이몽룡을 그리워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쑥대머리'는 마치 쑥(대)밭의 쑥처럼 엉클어지고 초췌한 춘향의 모습(머리)을 말합니다.
(중머리) 쑥대머리 구신형용(鬼神形容) 적막옥방(寂寞獄房)으 찬 자리에 생각난 것이 임 뿐이라. 보고지고 보고지고. 한양낭군(漢陽郎君) 보고지고. 오리정(五里亭) 정별후(情別後)로 일장서(一張書)를 내가 못봤으니 부모봉양(父母奉養) 글공부에 저를이 없어서 이러난가. 연이신혼(宴爾新婚) 금슬우지(琴瑟友之) 나를 잊고 이러는가. 계궁항아(桂宮恒娥) 추월(秋月) 같이 번뜻 솟아서 비치고져. 막왕막래(莫往莫來) 맥혔으니 앵모서를 내가 어이보며, 전전반칙(輾轉反側)으 잠 못 이루니 호접몽(胡蝶夢)을 어이 꿀 수 있나. 손가락으 피를 내여 사정(事情)으로 편지헐까. 간장의 석은 눈물로 임의 화상(畵像)을 그려볼까. 녹수부용(綠水芙蓉)으 연(蓮) 캐는 채련녀(採蓮女)와 제롱망채엽(提籠忘採葉)으 뽕따는 연인네도 낭군 생각은 일반이라. 옥문 밖을 못나가니 뽕을 따고 연 캐겄나. 내가 만일에 임을 못 보고 옥중 원귀(寃鬼)가 되거드면, 무덤 근처 있난 독은 망부석(望夫石)이 될 것이요, 무덤 앞에 섰난 남근 상사목(相思木)이 될 것이오. 생전사후(生前死後)으 이 원통을 알어 줄 이가 뉘 있드란 말이냐. 아무도 모르게 울음을 운다.
관련글 : 16회 임방울 국악 전야제 관람기
'쑥대머리' 그 득음의 경지를 엿보다.
'즐겨라 광주 > 문화와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학 숙제로 본 -광주 칠석고싸움 - (73) | 2009.01.28 |
---|---|
달팽이의 대화가 들리시나요? (88) | 2009.01.20 |
전철경보음 '쑥대머리'를 기다리며... (33) | 2009.01.19 |
Go to Asia ...⑤ 폐막 콘서트 (30) | 2009.01.12 |
Go to Asia ...④ 한국 락(Rock)의 대부! 신중현 콘서트 (63) | 2009.01.09 |
Go to Asia ...③ 창녀가 된 선녀와 나무꾼 (61) | 2009.01.08 |
잘 읽었습니다 ^^...
전철 경보음... 괜찮은 생각인데요 ㅎㅎ..
오 좋은 포스트 잘읽었습니다. 지하철에서 쑥대머리 들으면 참 색다르겠어요~
요즘 한국인이면서 한국에 대해 너무 모른다는 생각이듭니다
경보음 정말 좋은 생각인 것 같아요~^^ㅎ
이런 노력하나하나가 정말 한국을 알리는데 큰 힘이 될것 같아요~^^
멋집니다~^^d
동의해 주시니 감솨~~^^
전철 경보음 굿 아이디어...!!!
점점 더 좋아지고 있으니... 앞으로 더 기대가 되는 대한민국..!!
이런 분들이 많이 알려져야 합니다.
참 좋은 생각 이네요.
전철역마다 그 지역의 특성을 살린 경보음이 많이 생겨났으면 하는
기대를 합니다.
강병노님, 정말 재밌는 아이디어가 될 것 같아요.
빨리 실현될 날을 기다리겠슴다.
스펀지, 있다 없다에 제보 준비 완료!!
아니 벌써 그런 준비를...덕분에 방송에 나올 지도 ㅠㅠ
전철역에 저런 문화공간을 마련한 것도 좋은데 거기에 경보음까지라면 정말 전국에서 내노라하는 명물로 탄생할 것 같습니다~~
번뜩이는 건의!!! 훌륭하십니다~~~
꾸벅~~
아,,, 쑥대머리;; 개그프로에서 본거이 인식이 되버렸었는데,,무슨뜻일까는 생각안해봤었네여ㅠㅠ 그런데 저런 뜻이 있었네염;;;
크~ 오늘도 빛님 덕에 새로운 사실하나 알고갑니다^^
아.. 쑥대머리에 그런뜻이있었군요.
국창이셨다니.. 나라를 대표하는
명창이시군요. 대단하십니다..
이런곳이 있었네요...
열정을 가지고 살아 간다는건 정말 멋져보여요...^^
개그프로로 인해 알게 된 쑥대머리...
정확은 뜻을 알고 갑니다..
오늘하루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쑥대머리 때문에;;
왠지 웃어 버렸어요^^;;;
좋은 글 잘 봤습니다 ^-^
그럼 안되는뒈.. 임방울선생님의 존함에서 괜히 웃음이 촘.. ^^
그리고 이 쑥대머리~ 창부분은 웃찾사였나요? 개그프로땜에 더많이 유행이 된듯^^
날씨가 조금 풀렸네요~ 이주에 대명절 설이 끼여있어 그럴까요^^
어쩜 귀성길로 명절증후군으로 픽온해질수도 있겠지만
모쪼록 반가운 가족과의 만남과 행복한 시간으로 몸과맘이
훈훈한 명절 '설' 보내시길 바랍니다^^ 맛난 음식도 많이 드시고욤~
(호박은 아마도 뱃살이 두둑해질듯.. ㅜㅜ )
웃음가득한 해피화욜 오후 되십셔(꾸우벅~)
감솨~ 꾸우벅^^ ^^
전철 기다리다.. 쑥대머리가 나오면..
우습겠는데요. 광주에선 별걸 다 하는군요. ㅎ
헉 ㅡ..ㅡ;; 쑥대머리 진짜로 있는것이었군요.
전 개그로 만든줄알았는데
반성반성
역시...소리는 좋은 것이여~! 얼쑤!!
우라 가락의 흥겨움을 아시는 분이군요.^^..
덕분에 대머리를 몇번이고 반복해서 들어봅니다...
^^.. 요즘 록에 비하면 훨 흥겨움을 주죠.
쑥대머리.. 이거 개그프로그램에서 나오는 말이죠?? 그래서 그런지.. 쑥대머리가 자꾸 웃기게만 생각이 되네요.. 쩝..
^^..
아이들이 자고 있어서 소리가 작은데 저도 모르게 소리를 키워서 듣고 있네요. 이 늦은밤 듣는 소리 너무 좋아요
아!예, 한번 빠지면 헤어나기 힘걸요. 특이나 임국창의 창은 다른 소리꾼하고 격이 좀 다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