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즐겨라 광주/문화와 예술

용아 박용철 시비와 영랑 김윤식 시비, 광주공원


 광주공원에 용아 박용철(송정리 출신) 시비와 영랑 김윤식(강진 출신) 시비가 함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가까운듯, 그러나 조금 떨어져 있는 시비.

그들이 함께 일구었던 시문학(잡지-정지용 시인이 여기를 통해서 소개됨, 박용철이 편집*발간인)
순수시마을을 고집했던 영랑과는 달리 예술 다방면에서 열정을 불살랐던 용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 시비의 모습에서
함께 활동하고 우정을 나누었지만,
또 한편 각자의 세계에서 매진했던 두 시인의 모습을 떠올려 보았다.

쓸쓸해지는 계절, 가슴 속에 묻어 둔 혹은 책장 속에 꽂아 둔 시들을 꺼내보는 건 어떨까?

(참고)이 시비는 1970년대 초 정소파, 문병란, 손광은 등 이 지역 시인들의
발의에 의해 건립된 최초의 시비라 할 수 있다. - 전라도를 다시 보다 中


<떠나가는 배 , 박용철>

나 두 야 간다.
나의 이 젊은 나이를
눈물로야 보낼 거냐.
나 두 야 가련다.

아득한 이 항군들 손쉽게야 버릴 거냐.
안개같이 물어린 눈에도 비치나니
골짜기마다 눈에 익은 묏부리 모양
주름살도 눈에 익은 아아 사랑하는 사람들.

버리고 가는 이도 못 잊는 마음
쫓겨 가는 마음인들 무어 다를 거냐.
돌아다 보는 구름에는 바람이 해살짓는다.
앞 대일 언덕인들 마련이나 있을 거냐.

나 두 야 가련다.
나의 이 젊은 나이를
눈물로야 보낼 거냐.
나 두 야 간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윤식>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테요
5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가고 말아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네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