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온의 김죽파류 가야금산조
구음(口音)과 산조(散調)의 만남
구음(口音)과 산조(散調)의 만남 가야금 성심온교수, 구음/장단 조순애선생님
구음(口音)과 산조(散調)의 특별한 만남, 성심온의 김죽파류 가야금산조 무대가 2월의 마지막 날인 28일 광주서구 빛고을국악전수관 목요열린국악한마당 무대에 올려졌습니다.
이번 무대에는 성심온님의 가야금산조와 더불어 구음/장단의 명인 조순애선생님이 특별 출연해 다스름,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세산조시 등 다양한 가락으로 좀처럼 접하기 어려운 좀 특별한 구음과 가야금산조을 선보여 관객들의 아낌없는 갈채를 받았습니다.
가야금 성심온님과 구음/가락 조순애님 관객들에게 인사 모습 | 공연후 조순애 명인, 성심온님 |
구음은? 악기의 특정음을 입으로 흉내내는 소리를 의미합니다. 우리의 전통악기는 각기 고유한 구음을 갖고 있으며, 전통사회에서는 구음을 통해 스승에서 제자에게 음악이 전승되었습니다.
구음의 역사는 매우 오래 되었는데. 이미 고려시대에 거문고 · 가야금 · 대금 등 여러 악기의 구음이 존재 했다고 합니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박연이 음악의 지법(指法)과 육조(肉調)를 고려하여 악보를 만들었다고 하는데, 여기서 육조(肉調)란? 바로 구음을 일컫는 것입니다. 그리고 '세종실록' 악보 선문에는 이전의 악보는 소리를 본 딴 육조(肉調)로 음악이 전해졌기 때문에 새로 악보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또한 '악학궤범(1493)에는 'ㅅ 랭'과 'ㅅ랭'과 깉은 거문고 구음이 기록되어있습니다. 그리고 '금합자보(1572)' 는 본격적으로 육조(肉調)를 기보한 악보입니다. 이렇게 구음을 악보로 기보한 육보가 이미 조선 초기부터 존재했을 정도로 구음은 오래 된 것 입니다.
이진기jingi1967@gmail.com
'즐겨라 광주 > 문화와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8회 광주일보 3·1절 전국마라톤대회 - 광주랑 (4) | 2013.03.02 |
---|---|
“봄, 벗들과 우리소리여행 떠나요” (0) | 2013.03.01 |
[광주전시]2013년 원로작가초대전-강봉규-나무와 사람-광주랑 (0) | 2013.02.28 |
[광주전시회]2013한국보도사진전 및 광주전남보도사진전 ‘현장의 눈/빛’-광주랑 (0) | 2013.02.28 |
[광주전시]‘무등(無等)에 오르다’ 특별기획전 개최-광주랑 (3) | 201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