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박용철

떠나가는 배, 현대문학의 개척자 '박용철 생가' 나 두야 간다 나의 이 젊은 나이를 눈물로야 보낼 거냐 나두야 가련다 - 박용철의 떠나가는 배 中 다들 한번 들어보셨을 법한 박용철의 떠나가는 배 이 시의 배경인 1930년대 우리 민족은 일제의 탄압에 견디지 못하고 해외로 유랑 길을 떠났답니다. 일제의 탄압은 젊은 사람들의 의욕을 꺽고 실의에 빠지게 하기에 참다운 일을 찾아 고국을 떠나는 모습, 망명의 모습을 상상하며 조국을 떠나는 배로 비유하면서 울적한 마음을 담은 시입니다. 광주를 대표하는 문학가들은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 현대문학의 개척자라 할 수 있는 용아 박용철 생가에 대해서 알려드리려 합니다. 용아의 생가는 1970년대 새마을 사업으로 초가지붕을 시멘트 기와와 슬레이트 등으로 개량하였으나 1996년 문화재 복원 사업을 실시, 다시 초가지붕으로.. 더보기
시문학파 기념관 탐방 -시와 노래와 풍경이 있는 강진의 낭만 강진 시문학파 기념관에서 시문학파 9인 : 김영랑, 박용철, 정지용, 이하윤, 정인보, 변영로, 김현구, 신석정, 허보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풀 아래 웃음짓는 샘물같이 내마음 고요히 고운 봄길 위에 실비단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 - 영랑 김윤식 시, 중에서 강진의 햇살은 마치 그릇에 담으면 한 그릇의 투명한 햇발이 담길 것 같았다. 후르륵 마시면 심장까지 시원하고 또 따뜻해질 것 같았다. 강진의 돌담길을 걸으며 타임머신을 타고 조선시대로 옮겨 온 듯한 착각... 마량쪽에서는 탐라에서 실려 온 말의 울음이 들리는 것 같았다. 표지 호르 호르르 호르르르 가을 아침 취여진 청명을 마시며 거닐면 수풀이 호르르 버레가 호르르르 청명은 내 머릿속 가슴속을 젖어들어 발끝 손끝으로 새어나가나니 -김영랑 시 중에서 .. 더보기
호남 인물열전-용아 박용철 ※ 이미지를 '클릭' 하시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더보기
광주에서 만나는 초가집 - 용아 박용철 생가 용아 박용철에 대해서 관심을 갖게 된 후, 이것저것 자료 좀 찾아 본 후에 용아 생가에 가 보았습니다. -지하철을 타고 15~20분 정도 걸으면 됩니다.(송정리역이나 송정공원에서 하차) -63번 62번 버스 운행(근처 50미터 앞까지 갑니다.) 용아 생가가 보입니다. 초가집입니다. 솔직히 광주에서는 초가집을 처음 봐서, 정말 신기하고 반가웠습니다. 문화재 표시가 보입니다. (핸드폰 카메라여서 자세히 찍지 못해서 아쉽네요.) 집 앞에 도달하였습니다. 어서 들어오라고 문이 열려져 있네요. ^^ 집 뒤에 울창한 대나무 숲이 보입니다. 초가집이 참 정겹습니다. 항아리도 보이고 정원도 있습니다.한 걸음 한 걸음, 돌을 밝으며 걸어보는 재미도 쏠쏠했습니다. 초가집 지붕을 가까이서 찍어보았습니다. 아직 젊은 저로서는.. 더보기
용아 박용철 시비와 영랑 김윤식 시비, 광주공원 광주공원에 용아 박용철(송정리 출신) 시비와 영랑 김윤식(강진 출신) 시비가 함께 있다. 가까운듯, 그러나 조금 떨어져 있는 시비. 그들이 함께 일구었던 시문학(잡지-정지용 시인이 여기를 통해서 소개됨, 박용철이 편집*발간인) 순수시마을을 고집했던 영랑과는 달리 예술 다방면에서 열정을 불살랐던 용아. 저 시비의 모습에서 함께 활동하고 우정을 나누었지만, 또 한편 각자의 세계에서 매진했던 두 시인의 모습을 떠올려 보았다. 쓸쓸해지는 계절, 가슴 속에 묻어 둔 혹은 책장 속에 꽂아 둔 시들을 꺼내보는 건 어떨까? (참고)이 시비는 1970년대 초 정소파, 문병란, 손광은 등 이 지역 시인들의 발의에 의해 건립된 최초의 시비라 할 수 있다. - 전라도를 다시 보다 中 나 두 야 간다. 나의 이 젊은 나이를 눈.. 더보기